반응형

대형마트 휴무일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코스트코)

안녕하세요

보부상 신대리입니다.

 

오늘은 대형마트 휴무일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물건, 대량유통으로 인한 저렴한 가격, 넓은 주차장 등 많은 편의때문에 대형 마트에 방문하여 장을 봅니다.

물론 요즘 같은 Covid19 같은 전염병이 있는 상황이라면 온라인으로도 많이 주문하죠.

이런 온라인 주문도 주로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쇼핑몰을 많이 이용합니다.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2012년 3월부터 유통산업발전법이 적용되기 시작하여 대형마트이 영업시간과 휴무일을 강제로 제한하기 시작했는데요.

 

매달 2째, 4째 주 일요일에 의무 휴업하게 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일요일만 조심하여 휴무일인지 알아보고 방문하면 되는 것이죠.

 

 

 

매번 검색 포털에 검색하여 알아보시기 보다는 제가 정리한 글을 보시고 바로 방문하여 알아보시면 더욱 빠르게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심플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이마트

1. 이마트 휴점일 알아보기 링크에 접속합니다.

store.emart.com/branch/list.do?trcknCode=header_store

 

 

 

 

 

 

2. 점포명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이마트 찾기

직접해보니 지점명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검색어 입력해서 찾는게 더 편리합니다.

운영 시간과 휴무일, 주차 정보까지 한꺼번에 알 수 있었습니다.

 

3. 점포명을 정확히 모른다면 휴점일 알아보기

정확히 모른다면 지역을 눌러서 찾아야 합니다. 지역을 누르니 바로 휴점일을 알 수 있었습니다.

 

 

홈플러스

1. 홈플러스 휴점일 알아보기 링크에 접속합니다.

corporate.homeplus.co.kr/Store/HyperMarket_locate.aspx

 

 

 

 

 

 

홈플러스 주식회사 공식 홈페이지

 

corporate.homeplus.co.kr

2. 지도로 알아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지도로 현위치 버튼을 누르니 바로 주변에 있는 홈플러스 운영시간과 휴무일 정보를 알 수 있었습니다.

 

3. 지도 검색이 불편하다면 지역명 입력

'강서'라고 지역명만 입려해도 주변의 홈플러스 정보가 조회됩니다.

 

롯데마트

1. 롯데마트 지점 찾기 링크에 접속합니다.

company.lottemart.com/bc/branch/main.do?menuCd=BM0201

 

 

지점찾기| 롯데마트

 

company.lottemart.com

 

2. 지점찾기에서 지역을 입력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측 상단에 영업점 및 휴무점포 안내는 이용하기 조금 불편합니다.

지역명만 입력해도 조회가 됩니다.

 

 

 

 

코스트코 

1. 코스트코 지점 찾기 링크에 접속합니다.

www.costco.co.kr/store-finder

 

2. 지도 또는 스크롤 검색

코스트코는 16개의 점포로 점포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지도로 찾거나 스크롤을 올리고 내려서 검색 가능합니다.

 

3. 점포 안내 클릭

점포 안내를 클릭하니 운영시간과 휴무일을 명확하게 알려줍니다.

 

 

 

이렇게 네 가지 대형마트의 휴무일에 대해서 심플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방문 전 꼭 내용 참고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보부상 신대리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보부상 신대리입니다

 

오늘은 신세계 백화점 멤버쉽에 관한 내용을 심플하게 정리해볼까 합니다.

 

신세계 백화점에서는 'VIP 클럽' 이 있습니다.

등급별로 단골 고객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는데요.

 

최근까지 제가 누렸던 가장 좋은 혜택은 무료음료, 커피 혜택 그리고 무료 주차 쿠폰 제공 이었습니다.

고객 선정 기준가 멤버스바 이용에 대해서 심플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신세계 VIP 고객 선정 기준

 

TRINITY

최상위 999명 구매 일수 연 12회 이상 (2020년 2월 1일부터 2021년 1월 31일까지)

 

DIAMOND

연간 구매금액 1억원 이상
(세일리지 한도액 최대 2천만원 추가, 전 점 발레 주차권 1장 추가 증정,
프라이빗 이벤트 20만 포인트 추가, 라운지 동반 가능인원 1인 추가)
연간 구매금액 6,000만원 이상

 

PLATINUM

연간 구매금액 5,000만원 이상 (세일리지 한도액 3백만원 추가)
연간 구매금액 4,000만원 이상

 

 

 

 

GOLD

연간 구매금액 3,000만원 이상 (세일리지 한도액 3백만원 추가)
연간 구매금액 2,000만원 이상

 

BLACK

연간 구매금액 1,500만원 이상
(세일리지 한도액 2백만원 추가, 전 점 무료 주차권 증정)
연간 구매금액 800만원 이상

 

RED

기준 1 연간 구매금액 400만원 이상 구매 일수 연 24회 이상 
OR
기준 2 분기 구매금액 200만원 이상(구매 일수 1회 이상)

3개월 구매실적으로 매달 선정 / 선정 후 3개월 (이후 등급 재신청) 
OR
기준 3 분기 구매금액 100만원 이상(구매 일수 6회 이상)
3개월 구매실적으로 매달 선정 / 선정 후 3개월 (이후 등급 재신청)

적어도 RED 등급이 되어야 이용 가능합니다.

열심히 벌어 최상위 등급도 한 번 누려보고 싶군요.

 

신세계 VIP 혜택 안내

멤버스바에 관한 포스팅이므로,

등급별 자세한 혜택은 아래 사이트에서 참고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www.shinsegae.com/service/vipclub/benefits-trinity.do

 

 

 

 

 

 

 

 

신세계 멤버스바

전 점 통합 월 10회 (1일 1회 한), 회원 포함 2인까지 이용이 가능합니다.
* 멤버스바 이용 시 본인 및 가족 카드 1장에 한해 추가 등록 가능합니다.
* 전 점 멤버스바의 라스트 오더 시간은 폐점 30분 전까지입니다.

 

운영 지점

본점, 강남점, 타임스퀘어점, 경기점, 의정부점, 스타필드 하남점, 센텀시티, 대구신세계, 김해점, 마산점, 광주신세계, 충청점 

 

신세계 멤버스바 지점별 층수 조회

1. 강남점 기준 멤버스바 검색 결과 직접 접속 주소입니다.

www.shinsegae.com/search.do?schKeyword=%EB%A9%A4%EB%B2%84%EC%8A%A4%EB%B0%94

2. 점포 변경을 위해 우측 다른 점포 11개를 누르면 다른 점포 선택이 가능합니다.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위에 말씀드렸던 기준으로 RED 등급이 되어야합니다. 제일 낮은 등급이며 3개월 단위로 갱신되니 자격여부를 확인해야합니다.

 

무료 음료와 커피, 그리고 주차쿠폰 제공은 서민들에겐 아주 유용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내용 참고하셔서 슬기로운 소비하시길 바랍니다.

 

보부상 신대리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보부상 신대리입니다.

 

요즘 피부과에 자주 다니고 있습니다.

피부과에서 빠르고 좋은 효과를 내기 위해 스테로이드가 포함된 약을 사용한다고 저 같은 서민들에게 인식이 박혀있는데요.

 

또한, 빠른 효과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하면 몸에 안 좋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부작용 얘기도 많이 들어왔었죠.

여기 저기서 들은 얘기들 뿐인데요.

 

저도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알아보고자 심플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스테로이드의 역할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스테로이드란?

스테로이드(steroid)는 유기합성물의 일종인 지질로서 생체 내에서 신호 전달 물질로 사용됩니다.

호르몬의 일종이죠.

 

대표적인 것이 ‘코티졸’이라는 ‘부신 피질 호르몬’이 있고 잘 아시는 ‘성호르몬’이 있습니다.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안드로겐(androgen), 에스트로겐(estrogen),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알도스테론(aldosterone), 코티솔(cortisol)과 같은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같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포함하여 스테로이드의 기본 구조를 갖는 물질을 총칭합니다. 

 

 

 

 

 

스테로이드 효능

스테로이드는 인체 내에서 세포 간 신호전달을 하는 물질입니다. 인체의 여러 호르몬이 스테로이드이며, 잘 알려진 대로 호르몬은 인체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요. 체온을 높이거나 낮춰서 일정 수준의 체온을 유지하게 하며, 몸을 움직일 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상용할 수 있게 합니다. 여러 인체의 기관(위, 장, 간 등)들이 조화롭게 작동하도록 조율하기도 하며, 혈당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도 담당합니다.

 

 

항염 효과 내 다양한 질병 치료제로 사용

 

 

 

 

스테로이드제는 약물로 쓰이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제제를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스테로이드제는 부신피질호르몬제와 남성호르몬제, 여성호르몬제로 나눌 수 있는데요.

항염증·항알레르기 치료로 주로 쓰이는 것은 부신피질호르몬제 입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는 피부 및 눈, 위장관, 호흡기, 혈액, 신경계, 알레르기성, 종양성, 부종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염증반응이나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죠.

먹는 약, 주사 약, 바르는 약 등으로 사용하면 발적, 부종, 열감, 압통 등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고, 또한 스테로이드는 지용성으로 우리 몸에 빠르게 흡수돼 증상 완화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스테로이드 부작용 증후군

사용 범주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 몸 어디에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은 치명적입니다. 스테로이드 과다 사용의 가장 많이 알려진 문제는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인데요. 쿠싱 증후군 환자는 비정상적으로 부은 얼굴, 조절되지 않는 비만과 당뇨병, 여기저기 얼룩덜룩한 피부, 건조한 주름이 자글자글하고 면역력이 뚝 떨어지는 등의 문제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도 함께 보입니다. 쿠싱 증후군 환자는 매스컴을 통해 접하기 쉬운데요. 이런 환자들을 보면 스테로이드 과다 사용에 대해 겁부터 낼 수밖에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스테로이드를 기피하는 또 다른 이유는 스테로이드에 내성이 생긴다는 이야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조금씩 써도 되지만, 이 과정에서 인체의 부신 기능이 저하되어 스테로이드 용량을 점차 늘려야 한다는 것인데요. 이 공포도 스테로이드 사용 기피의 이유로 한몫을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스테로이드, 부작용을 감수하면서도 쓰는 이유


적은 양으로도 인체의 기능들을 좌지우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만 찾는다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완치에 가깝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용량 테이퍼링(tapering, 점점 줄어듦) 방법 등을 동원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소아과나 피부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스테로이드는 대부분의 경우 용량이 그렇게 높지 않으며, 일시적으로 소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테이퍼링 방법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즉, 외용제로 단기간 스테로이드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부작용을 경험하는 사례는 흔치 않습니다. 그러므로 피부 염증 등 비교적 사소한 이유로 스테로이드 외용제가 처방되더라도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동네 의원에서 연로하신 할머니 관절염에 스테로이드와 진통제를 복합 처방했다가, 자녀분들이 기겁하고 쫓아오는 일은 생각보다 흔히 발생합니다. 이 시기가 되면 관절염은 완치가 아닌 관리가 필요한 시기로, 수술도 불가능한 경우가 많은데요. 결국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더라도,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고 염증을 관리할 수 있다면 스테로이드 처방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즉, 스테로이드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투여할 수 있다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치료 효율을 올릴 수 있는 희대의 명약이 됩니다.

 

 

 

 

스테로이드는 내성 생길까?


스테로이드 내성이 생겨 약효가 듣지 않는다는 것도 오해인 경우가 많죠.

내성이 생기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주로 질병 자체의 경과에 따라 증상이 유지되는 것을 약효가 없는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따라서 약효가 없다고 무턱대고 독한 스테로이드를 찾으면 안 된다. 약효가 없다면 의사의 진단에 따라 스테로이드제와 비스테로이드제를 적절히 섞어 사용해야 합니다.

 

 

주로 궁금해 하는 부분에 대해 심플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스테로이드는 올바르게 사용하면 분명히 좋은 약입니다.

내용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보부상 신대리

반응형

+ Recent posts